통풍은 요산(uric acid)이 혈액 속에 과도하게 쌓여 관절에 결정(요산결정)이 침착되면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. 주로 발가락 관절에서 시작하지만, 발목·무릎·손가락 등 다양한 부위로 퍼질 수 있습니다.
통풍의 주요 원인
- 요산 과다 생성 – 퓨린(purine)이라는 물질이 분해되면서 요산이 생성됩니다. 붉은 고기, 내장, 일부 해산물, 맥주·소주 등 알코올 섭취가 많을수록 요산 수치가 상승합니다.
- 요산 배설 장애 – 신장 기능이 떨어져 요산이 잘 배출되지 않는 경우. 고혈압, 당뇨, 신부전 환자에게서 흔합니다.
- 생활 습관 – 과식, 과음, 단 음료 섭취, 비만 등이 위험 요인을 높입니다.
통풍 증상
- 발가락 관절이 붉게 붓고 뜨겁게 달아오름
- 바늘로 찌르는 듯한 극심한 통증
- 주로 새벽에 증상이 심해짐
- 1~2주 후 가라앉지만 재발 가능성 높음
통풍 치료 방법
1. 급성 발작기 치료
- 소염진통제(NSAIDs) – 통증과 염증 완화
- 콜히친(Colchicine) – 염증 억제, 발작 빈도 감소
- 스테로이드 – 다른 약물로 효과가 없을 때 주사 또는 경구제 사용
2. 요산 수치 조절
- 알로푸리놀(Allopurinol) – 요산 생성 억제
- 페북소스타트(Febuxostat) – 요산 생성 억제,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게도 사용 가능
- 프로베네시드(Probenecid) – 요산 배설 촉진
3. 생활습관 개선
- 퓨린 함량 높은 음식 제한 (내장, 멸치, 고등어, 맥주 등)
- 물 하루 2L 이상 섭취
- 체중 감량 및 규칙적인 운동
- 단 음식, 가당 음료 줄이기
재발 예방 관리법
-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요산 수치 확인
- 약물은 증상이 없을 때도 꾸준히 복용
- 과음과 폭식 피하기
- 충분한 수분 섭취로 요산 배출 촉진
마무리
통풍은 한 번 발작이 시작되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지만, 원인과 치료 방법을 잘 이해하고 생활 관리를 병행하면 재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꾸준한 약물 치료와 식습관·운동 관리가 통풍 예방의 핵심입니다.